2025.03.29 (토)

  • 맑음동두천 5.5℃
  • 구름많음강릉 7.1℃
  • 맑음서울 5.4℃
  • 구름많음대전 6.1℃
  • 구름많음대구 8.0℃
  • 흐림울산 10.1℃
  • 구름많음광주 5.7℃
  • 흐림부산 9.8℃
  • 구름많음고창 3.8℃
  • 흐림제주 7.9℃
  • 맑음강화 4.7℃
  • 구름많음보은 4.6℃
  • 구름많음금산 5.3℃
  • 흐림강진군 6.9℃
  • 흐림경주시 9.8℃
  • 흐림거제 9.2℃
기상청 제공
기사검색

직지 보다 앞선 금속활자본 또 발견!

자비도량참법집해(慈悲道場懺法集解) 개인소장본
"고인쇄박물관 번각본과 비교분석-금속활자본 논증"
"직지 하권 제2장 3쪽과 비교분석-직지 보다 앞섬 논증"

직지 보다 앞선 금속활자본 또 발견!
자비도량참법집해(慈悲道場懺法集解) 개인소장본

 

직지 138년 앞선 남명증도가 발굴 유우식 박사, 
"고인쇄박물관 번각본과 비교분석-금속활자본 논증"
"직지 하권 제2장 3쪽과 비교분석-직지 보다 앞섬 논증"

 

직지 보다 앞선 금속활자인쇄본이 또 발견되었다.

 

직지 보다 138년 앞선 남명천화상송증도가(南明泉和尙頌證道歌)를 발굴하여 작년 2023년에 미국인쇄역시협회의 인쇄역사연표에 '세계 最古의 금속활자인쇄본'으로 등재되게 했던 유우식(兪祐植ㆍ62)가, 한국문화자보존과학회에 제출한 「이미지 비교와 분석에 의한 자비도량참법집해 異本 조사」 논문이 ‘보존과학회지’에 게재가 확정된 것으로 10/10 알려졌다.

 

오는 12월 출판될 「자비도량참법집해 異本 조사」 논문은 "직지 보다 앞선 금속활자본-자비도량참법집해 개인 소장본"이 주요 골자로서, "자비도량참법집해 개인 소장본과 청주고인쇄박물관 목판번각본과 비교분석하여 금속활자본임을 논증하고, 직지 하권 제2장 전엽(3쪽)과 비교분석하여 직지 보다 앞선 금속활자임을 논증"한 것이다.

 

 

유우식 박사의 제보와 법보신문 등의 보도를 종합하면, 개인 소장본을 실측촬영한 고해상도 디지털 이미지와 고인쇄박물관 소장본의 고해상도 디지털 이미지를 비교분석한 결과, 세로 길이가 고인쇄박물관 소장본이 개인 소장본보다 5% 가량 더 짧았으며, 이는 판목이 건조되는 과정에서 생긴 수축 때문으로 "고인쇄박물관 소장본은 목판인쇄본, 개인 소장본은 금속활자인쇄본"의 논거로 제시되었다.
 

 

이어, 유우식 박사는 "개인 소장본이 직지를 인쇄한 금속활자의 번각본(飜刻本)으로 알려진 것과 달리, 개인 소장본을 인쇄한 금속활자와 직지를 인쇄한 금속활자는 다른 금속활자이며, 개인 소장본이 직지 보다 앞서 인쇄된 판본임"을 논증했다.

 

유우식 박사에 따르면 "직지와 달리 개인 소장본은 행과 행 사이에 계선(界線)이 없는데, 이는 금속활자 개발초기 단계의 조판방식임을 반증하는 것"이며, "사용된 글자 크기나 모양도 달랐는데, 이는 금속활자 주조기술이 미숙한 단계에서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지적했다.

 

                                                                      ▲직지 제2장 전엽(3쪽)

 

유우식 박사는 "개인 소장본의 경우 眞ㆍ如ㆍ世ㆍ覺은 같은 글자간의 유사도가 직지에 비해 낮고 글자체도 고르지 않았다. 眞의 경우 개인 소장본에서는 위쪽이 匕로 되어 있고 직지에는 十으로 인쇄돼 있었다. 如의 경우 女변의 모양이 제각각이었고, 如何도 개인 소장본에서는 如阿였다. 世의 경우 丗와 卋가 함께 인쇄돼 있었다. 正覺의 경우 正覚이 함께 사용되었다"고 예시했다.

 

 

자비도량참법집해는 고려 천태종의 승려 조구(祖丘ㆍ1310년대 후반~1395)의 저술이다. 
조구 스님은 조선 태조 3년(1394)에 국사로 책봉되었고 이듬해 입적했는데, 직지가 인쇄된 고려 우왕 3년(1377)은 50대 후반에서 60대를 바라보는 나이로 1360년~1370년에 이미 자비도량참법집해를 집필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덧붙여, 개인 소장본의 금속활자 주조기술 완성도가 낮은 것도 직지 보다 앞선시기의 금속활자 인쇄본임을 웅변하고 있다.
유우식 박사도 "직지 보다 최소 10여년 앞선 금속활자본으로 본다"고 밝혔다.

 


  

자비도량참법집해는 『자비도량참법』에 나오는 어려운 글자나 어구, 내용에 대하여 상세한 설명을 하고 여러 학자의 견해를 수록하여 배우는 사람들로 하여금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풀이(集解)한 책이다.
고려 전기인 1106년경 자비참도량(慈悲懺道場)이 설치되고 참회문과 참법이 성행하였는데, 경전의 주송(呪誦)ㆍ예참(禮懺)ㆍ참회(懺悔)를 통하여 복을 기원하는 기복신앙의 내용을 담은 책이 『자비도량참법』이다.

 

이번 자비도량찹법집해 금속활자본 발굴로 우리나라는, 직지 보다 138년 앞선 금속활자본 남명천화상송증도가에 이어, 10여년 앞선 자비도량찹법집해 금속활자본까지 보유하는 나라가 되는 셈이다.

 

 

금년 5/28 미국인쇄역사협회 인쇄역사연표에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목판 인쇄물"로 등재시킨 바 있는 유우식 박사는, 일본 교토대학에서 반도체를 전공한 공학박사로서 현재는 웨이퍼 마스터社(반도체 재료 웨이퍼 제조업) 대표를 맡고있는 기업경영인인이며, 문화유산회복재단 학술위원ㆍ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객원연구원ㆍ국제문화재전략센터 전문위원 등도 맡고 있다.


※관련 기사 ☞ 월간인쇄마당 9월호 54~61쪽 e-book  http://link.clickbook.co.kr/books/xdba


<언론 보도>---------------------------------------------------

직지보다 앞선 금속활자본 자비도량참법집해 찾았다 / 법보신문
http://www.beopbo.com/news/articleView.html?idxno=325348